몸과 마음이 건전한 SW 개발자

[WEB] 웹 표준과 웹 접근성에 대한 주관적 이해 본문

프론트엔드/WEB

[WEB] 웹 표준과 웹 접근성에 대한 주관적 이해

스위태니 2024. 12. 9. 22:38

▶▷ 서론◁◀

  • 프론트 개발을 할 당시 기획부터 figma로 직접 UI/UX를 설계, 개발까지 모든 과정을 경험해봤다.
  • 하지만 내가 개발할 당시 웹 접근성, 하물며 웹 표준에 대해서도 모르는 상태로 개발에 참여했었다.
  • 만약 내가 개발한 사이트를 오픈한다면 웹 접근성 인증을 받아야 하며 내가 이를 받을 수 있을지 의문이다.
  • 이처럼 이 글을 쓰는 이유는 앞으로 웹 접근성과 웹 표준에 대해 이해하고 개발하기 위함이다.
  • 또한 나처럼 모르고 개발하는 사람은 없었으면 좋겠다.

▶▷ 목차 ◁◀

  1. 웹 표준과 웹 접근성
  2. 내 포트폴리오 테스트하기
  3. 시맨틱 태그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4. 정리하기

1. 웹 표준과 웹 접근성◁◀

  • 웹 표준 안에 웹 접근성이 있다고 보면 된다.
  • 웹 표준이란
    • HTML
      • HTML5를 사용하여 웹페이지의 구조를 정의
    • CSS
      •  CSS3를 사용하여 웹페이지의 디자인을 정의
    • JavaScript
      • JavaScript를 사용하여 웹페이지의 동적인 요소를 추가
        • 이런 기술 표준 3요소 뿐만 아니라
          • 웹 접근성
          • 크로스 브라우징
          • 반응형 웹
          • 통신 프로토콜 : HTTP, HTTPS
          • 데이터 포맷 : JSON, XML
          • 보안 : SSL/TLS
          • 모바일 웹 표준
            • 등의 표준을 말한다.
  • 웹 접근성이란
    • 시각 장애
    • 이동 장애
    • 청각 장애
    • 인지 장애
      • 와 같은 장애가 있더라도 또는 남녀노소와 학력의 높고 낮음에 상관없이 누구나 웹 사이트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한다.
  • 그렇다면 웹 접근성은 어디서 배울 수 있을까?

 2. 내 포트폴리오 테스트하기◁◀

  • 웹 표준에 대해 이해했지만 간단하게 내가 작성한 html 또는 코드가 웹 표준에 부합한지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가 있다.
  • https://jigsaw.w3.org/css-validator/
 

W3C CSS 검사 서비스

파일 업로드를 통한 검사 직접 입력을 통한 검사

jigsaw.w3.org

  • 이 사이트의 URI에 자신이 배포한 사이트의 주소를 넣어도 되고 파일 업로드를 통해 확인해도 된다.
  • CSS와 HTML 문법을 검사해준다고 하니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3. 시맨틱 태그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

  • 다음으로 시멘틱 태그에 대해서 알아보자.
  • 시맨틱 태그란 무엇인가
    • 기본적으로 우리가 줄여서 태그라고 말한다.
    • 태그의 이름만 봐도 의미를 알 수 있는 태그를 시맨틱 태그라고 한다.
      • 텍스트
        • h1 ~ h6
        • p
        • br
        • strong
        • b
      • 목록
        • ul
        • ol
        • li
        • table
        • tr
        • td
      • 비디오
        • video
      • 오디오
        • audio
      • 링크
        • a
      • 이미지
        • img 
          • 와 같은 태그가 있다.
          • 이 외에
            • header
            • section
            • footer
            • nav
            • article
            • main 
              • 등의 태그를 통해 html을 구분지을 수 있다.
              • 아래는 그 예시이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홈페이지</title>
</head>
<body>
    <header>
        <h1><a><img/></a></h1>
        <nav>
            <ul>
                <li><a>홈</a></li>
                <li><a>소개</a></li>
                <li><a>서비스</a></li>
                <li><a>고객센터</a></li>
            </ul>
        </nav>
    </header>
    <main>
        <article>
            <header><h2><a>제목: HTML5 기초</a></h2></header>
            <p>HTML5는 웹 표준 마크업 언어로, 웹 페이지를 작성하는 데 사용됩니다.</p>
            <footer><span>작성자: 홍길동</span><span>작성일: 2023-10-01</span></footer>
        </article>
        <section>
            <h2>댓글</h2>
            <!-- 댓글 관련 내용 -->
        </section>
        <aside>
            <h2>관련 글</h2>
            <!-- 관련 글 목록 -->
        </aside>
    </main>
    <footer>
        <p>© 2023 Company Name</p>
        <div>
            <h2>SNS 바로가기</h2>
            <!-- SNS 링크 -->
        </div>
    </footer>
</body>
</html>
  • 이런식으로 시맨틱 태그를 사용하는 이유는
    1. 태그만 봐도 HTML에서 어느 부분이 제목을 담당하는지 하단 부분인지 기사인지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웹사이트의 정보 구조를 직관적으로 나타내어 검색 엔진이 콘텐츠를 더 잘 이해하고 색인화할 수 있도록 하고 스크린 리더나 자막 생성 도구와 같은 보조 기술이 웹사이트의 콘텐츠를 더 정확하게 해석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다.
      • 이처럼 해당 부분을 나눠서 설명할 수 있다보니 웹 접근성 지침에서도 권장하고 있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2. 문서를 구조화 시켜 pc, tablet, mobile과 같은 다양한 디바이스 환경에서 웹 사이트를 쉽게 표현할 수 있다.
      • 다양한 디바이스 환경에서 웹사이트를 표현할 때도 유용한데 특히 반응형 웹 디자인에서는 디바이스 크기에 따라 콘텐츠가 어떻게 배치될지를 미리 정의할 수 있어 개발과 테스트 과정을 간소화한다.
    3. 검색할 때 속도 향상과 정확성에 도움이 되고 나의 사이트를 노출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 검색 엔진 최적화에 도움이 되는데 검색 엔진은 이러한 태그를 통해 웹사이트의 구조와 내용을 더 잘 이해하고 검색 결과에 웹사이트를 더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다.
    4. 시맨틱 태그를 사용하면 웹사이트의 유지 보수가 용이해지는데 콘텐츠의 구조가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어 새로운 콘텐츠를 추가하거나 기존 콘텐츠를 수정할 때 작업이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4. 정리하기◁◀

  • 웹 표준이란 HTML, CSS, JavaScript와 같은 기술 표준과 웹 접근성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 웹 표준을 준수하면 성능향상, 유지 보수가 용이해짐, 접근성이 높아짐 등의 효과가 있으므로 선택이 아닌 필수적으로 표준에 맞게 개발할 수 있도록 한다.

 

'프론트엔드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 웹 접근성 지침  (2) 2024.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