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250x250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softeer
- 파이썬
- level 3
- programmers
- 소프티어
- Lv. 3
- Dynamic Programming
- SQL
- SQL 고득점 KIT
- dfs
- 프로그래머스
- javascript
- group by
- 오블완
- Java
- join
- 깊이 우선 탐색
- Lv. 1
- Python
- DP
- 백준
- Baekjoon
- 티스토리챌린지
- 자바스크립트
- LEVEL 2
- Lv. 2
- Lv. 0
- 동적계획법
- 너비 우선 탐색
- bfs
Archives
- Today
- Total
몸과 마음이 건전한 SW 개발자
[CS 지식] GET vs. POST 본문
728x90
jquery 공부하다가 갑자기 get post의 차이에 대해서 궁금해졌다. 그래서 w3shcool에서 get과 post의 차이를 공부해봤다.
※ 주의 ※
이 블로그는 어디까지나 CS관련 지식을 정리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제가 이해한 내용이 잘못 된 것 같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여러분의 관심이 저의 지식 함양에 도움이 됩니다.
>> 출처
https://www.w3schools.com/tags/ref_httpmethods.asp
W3Schools.com
W3Schools offers free online tutorials, references and exercises in all the major languages of the web. Covering popular subjects like HTML, CSS, JavaScript, Python, SQL, Java, and many, many more.
www.w3schools.com
>> GET vs. POST 한국어 번역
특성 | GET | POST |
뒤로 가기 / 새로 고침 버튼 |
안전함 | 데이터가 재전송됨 (브라우저가 데이터를 재전송할 것이라고 사용자에게 경고해야 함) |
북마크됨 | 북마크 가능 | 북마크 불가 |
캐시됨 | 캐시 가능 | 캐시 불가 |
인코딩 타입 |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또는 multipart/form-data. 바이너리 데이터를 위해 multipart 인코딩 사용 |
히스토리 | 파라미터가 브라우저 히스토리에 남음 | 파라미터가 브라우저 히스토리에 저장되지 않음 |
데이터 길이 제한 | 있음, GET 메소드는 데이터를 URL에 추가하므로 URL 길이에 제한이 있음 (최대 URL 길이는 2048자) | 제한 없음 |
데이터 타입 제한 | ASCII 문자만 허용 | 제한 없음. 바이너리 데이터도 허용 |
보안 | GET은 데이터를 URL의 일부로 보내므로 POST보다 덜 안전함 | POST는 파라미터가 브라우저 히스토리나 웹 서버 로그에 저장되지 않으므로 GET보다 조금 더 안전함 |
가시성 | 데이터가 URL에 표시되어 모두가 볼 수 있음 | 데이터가 URL에 표시되지 않음 |
728x90
'CS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 지식] JSON과 XML 차이 (0) | 2024.06.27 |
---|---|
Front-End가 뭐야? 대단한 기술이지~ [Front-End, 기술 동향, 용어 설명] (1) | 2024.03.06 |
스택, 큐, 트리 직접 구현해보기 (0) | 2024.03.03 |
Cloud는 구름이죠. (0) | 2024.02.25 |
예? 임베디드 컴퓨터요? (0) | 2024.02.17 |